반응형
EXPORT 유틸리티는 데이터베이스 간 데이터 객체를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
IMPORT 유틸리티는 export한 덤프 파일을 이용해서 데이터 객체를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 입력
[ 과정 START ]
CTAS를 이용해서 테이블 생성
18:34:24 SYS@ORA19C>CREATE TABLE hr.emp AS SELECT * FROM hr.employees;
Table created.
107건의 데이터 존재
18:34:32 SYS@ORA19C>SELECT count(*) FROM hr.emp;
COUNT(*)
----------
107
emp table export하기(OS에서 해야 함)
[oracle@oracle19c ~]$ exp system/oracle file=hr_emp.dmp tables=hr.emp direct=y
hr.emp table drop하기
18:40:51 SYS@ORA19C>DROP TABLE hr.emp PURGE;
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것 확인
18:40:57 SYS@ORA19C>SELECT * FROM hr.emp;
SELECT * FROM hr.emp
*
ERROR at line 1:
ORA-00942: table or view does not exist
없어진 테이블 export받은 dump 파일을 이용해서 DB에 import하기
[oracle@oracle19c ~]$ imp system/oracle file=hr_emp.dmp fromuser=hr tables=emp
복원된 거 확인
18:44:55 SYS@ORA19C>SELECT count(*) FROM hr.emp;
COUNT(*)
----------
107
추가) 만약 TRUNCATE를 했다면?
19:48:44 SYS@ORA19C>Truncate table hr.emp;
data_only=y 파라미터를 이용해서 import 받자
[oracle@oracle19c ~]$ imp userid=system/oracle file=hr_emp.dmp fromuser=hr tables=emp data_only=y
'ORACLE DBM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Time-Based Recovery(clone DB) using log miner(과정 생략) (1) | 2024.09.10 |
---|---|
Time-Based Recovery(TEMP DB) using log miner (1) | 2024.09.10 |
BACKUP & RECOVERY #3 CONTROL FILE 백업 (0) | 2024.08.24 |
sql프롬프트 변경하기 (0) | 2024.08.24 |
BACKUP & RECOVERY #2 초기 파라미터 백업 (0) | 2024.08.2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