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 목차 >
1. 데이터 변수와 자료구조
2. 웹 서비스의 구동원리
1. 데이터 변수와 자료구조
변수
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
변수명 자체는 주소를 의미해.
식별자 주소 하나에는 값 하나만 들어갈 수 있어.
메모리에는 주소부(주소영역)와 값부(값영역)가 있다.
메모리에 원시값이 들어갈 수도 있고, 주소가 들어갈 수도 있어.
주소가 들어갈 때는 메모리에 배열, 함수, 객체 정보를 담을 때.
연산자
숫자연산자
** : 제곱
% : 나머지
// : 몫
+= : 증감표현식
연산자 우선순위
= : 대입 연산자(메모리를 작동시키는 연산자야)
-> 연산자의 우선순위에서 가장 마지막 순위이다.( 오른쪽에 있는 연산을 수행하고 결과를 담는 연산자)
문자
스페이스, 엔터, 탭도 다 문자야.
문자열
문자열은 내부적으로는 복합체, 숫자와 다른 자료구조
str1 = "Hello"
str2 = ['H', 'e', 'l', 'l', 'o']
-> str1은 str2처럼 이렇게 연속된 구조로 저장된 것과 같아.(둘이 저장의 구조가 같아, 표현법만 다른거야)
그래서 문자열은 리스트와 같다.(메모리 구조가 똑같음)
-> 숫자는 산술연산, 비교연산 같은 숫자연산이 가능해. 하지만 문자는 불가능해 그러한 성격 때문에 나뉘는거야.
이스케이프 코드
\n : 줄바꿈 기호(new line)
\ : 명령어로 인식하지 말고 보이는 그대로 해석하라고 파싱된 형태의 데이터
" "(리터럴)
''' ''' : multiline 사용할 때 사용
문자열 + : 결합연산자
-> 표기법이 같을뿐 진짜 산술연산은 아님
-> +는 산술연산과 결합연산자 두 가지 역할을 다 한다!
문자열 * : 문자열을 반복해서 붙일 수 있음
ex) print("=" * 50) 이렇게 사용할 수 있음
배열
의미있는 데이터를 묶어서 하나의 이름으로 다룰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래밍 기술
-> 파이썬에서 list는 일반 프로그래밍에서 array
+ 관련 어휘 :
1) 주소(데이터를 묶어서 처리하기 위해 주소가 필요)
2) \ : 문자열의 맨 끝에 \를 붙여야 메모리가 종료가 됨.(문자의 제일 마지막을 나타냄)
-> 배열의 처음이 어디인지 포인터로 관리하고 끝이 어디인지 기호를 붙여서 메모리를 종료 함.
값부에 주소가 들어가는 이유
식별자 주소에는 하나의 값만 들어갈 수 있어.
그런데 복합체는 여러개의 묶음을 다루고 있기때문에 복합체를 다루기 위해서 주소가 필요
물리적으로 연속공간에 할당을 해.
배열의 핵심은 korScore을 &201로 가리키게 만들어. 그리고 저장된 3개의 물리공간중 첫주소를 알면 찾아갈 수 있어.
korScore 변수의 첫번째 88값의 주소를 가리키고 있다!
그걸 인덱싱해서 값을 가져올 수 있는거야!
오프셋(offset) : 떨어진 거리 = index
index개념은 오프셋 개념을 포함하고 있다.
2. 웹 서비스의 구동원리
웹 서비스의 원리
OS는 browser에게 신호를 보내면 browser은 신호를 받고 그 신호를 http deamon에게 보내.
클라이언트로부터 웹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http deamon이 전담처리.
요청정보에 맞춰서 페이지를 찾아.
요청정보는 페이지가 있는 곳의 경로를 담고 있어.
네트워크
원격으로 떨어진 두 대상간의(하드웨어일수도 있고 소프트웨어일수도 있어) 데이터 교환
네트워크의 규칙 :프로토콜
www(w3c) : http, https(www가 협회가 만든 규약)
HTTPS는 "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"의 약자로, HTTP에 보안 기능을 추가한 프로토콜
웹 서비스의 목표
여러 서비스 요청자가 동시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화려하게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
네트워크 모델
1:N = Server-Client
server는 서비스만 제공, client는 요청만 한다.
Server-Client 모델의 예)
Web Server(웹을 제공하는 서버) : 페이지 단위로 내용물을 만들어서 갖고있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줘.
DB Server(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
FTP Servr(파일 업로드,다운로드 도움)
Mail Server(메일을 제공하는 서버)
웹서버의 특징
24시간 꺼지지 않고 요청사항을 받아줄 수 있도록 OS위에서 프로세스가 하나 돌아야 해.
웹서비스 요청을 할 때 프로토콜 규격에 맞추서 보내고 받아야 해.
규격을 몰라도 웹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browser가 원하는 요청을 규격에 맞춰서 요청하는 역할을 해줬기 때문이다.
가상경로
브라우저로 웹 서버를 오픈할 때는 가상경로를 사용
주피터 노트북을 client버전으로 사용할 때 가상경로는 이렇게 돼 http://127.0.0.1:포트번호
'강남혁신 데분 아카데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데분수업과제(25.07.02) chickwts분석하기 (0) | 2025.07.02 |
---|---|
Day13 R설치/통계학(평균,분산) (0) | 2025.07.01 |
Day10 네트워크 모델과 프로토콜/오라클설치(25.06.25) (1) | 2025.06.25 |
Day7 모듈/정규표현식(25.06.19) (0) | 2025.06.23 |
프로그래밍 용어정리 (0) | 2025.06.11 |